기본언어가 영어로 되어있는 상황에서 한글이 제대로 안보이거나 입력이 안될 때 응용가능한...

 

From Arch Wiki


Launch application with different locale from terminal

For example launch Abiword with Hebrew locale:

$ env LANG=he_IL.UTF-8 abiword &


Launch application with different locale from desktop

Copy the .desktop file to the user home directory so it will take precedence:

$ cp /usr/share/applications/abiword.desktop ~/.local/share/applications/

Edit the Exec command:

~/.local/share/applications/abiword.desktop

Exec=env LANG=he_IL.UTF-8 abiword %U


'ETCs > Arch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tilda  (0) 2015.05.05
netctl, NetworkManager  (0) 2015.04.20
archey3  (0) 2015.04.19
nabi로 한글쓰기  (0) 2015.04.19
conky, paconky  (0) 2015.04.19

리눅스에서 안쓸래야 안쓸 수 없는 터미널.



sudo pacman -Ss tilda

dropdown 형태의 tilda.

단축키를 지정해놓고 필요때마다 단축키를 누르면 편리하다.

preference에서 투명, 애니메이션, 크기 등 다양한 customization이 가능하다.


시작프로그램에 tilda를 등록할 때에는 '-h' 옵션을 추가해주자.


비슷한 프로그램으로는 guake가 있고, qt환경에서는 yakuake가 있다.


'ETCs > Arch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다른 언어로 프로그램 실행하기..  (0) 2015.07.30
netctl, NetworkManager  (0) 2015.04.20
archey3  (0) 2015.04.19
nabi로 한글쓰기  (0) 2015.04.19
conky, paconky  (0) 2015.04.19

아치 리눅스를 usb에 복사하고, 유선 인터넷이 아닌, wifi-menu를 이용한 무선랜으로 연결 후 인스톨을 진행했다.

xfce를 설치 후 가장 문제가 됬던 점은 gui 환경에서 무선랜을 연결할 방법이 없었다. 패널에 와이파이 메뉴가 있는 것도 아니고...


구글링을 통해, NetworkManager와 networkmanager-applet을 이용하면 패널에 와이파이가 뜬다고 한다.

sudo pacman -S networkmanager network-manager-applet

설치만 한다고 되지는 않는다.  wifi-menu를 이용해 wifi 연결을 해왔기 때문에 또다른 무선랜 연결 도구인 netctl를 중지 시키고 NetworkManager를 시작해야...

sudo systemctl disable netctl.service

sudo systemctl enable NetworkManager.service

재시작.

기본적으로 xfce 패널의 notification are에 nm-applet이 지정되어 있어서 재시작하면 바로 사용할 수 있다.

'ETCs > Arch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다른 언어로 프로그램 실행하기..  (0) 2015.07.30
tilda  (0) 2015.05.05
archey3  (0) 2015.04.19
nabi로 한글쓰기  (0) 2015.04.19
conky, paconky  (0) 2015.04.19



terminal을 시작할 때 시스템정보와 함께 리눅스 디스트로의 로고가 나오는  archey3.

sudo pacman -S archey3

~/.bashrc 의 마지막에 'archey3'를 추가해준다.

'ETCs > Arch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tilda  (0) 2015.05.05
netctl, NetworkManager  (0) 2015.04.20
nabi로 한글쓰기  (0) 2015.04.19
conky, paconky  (0) 2015.04.19
Arch Way (MSI S12-A4 BlackPearl)  (0) 2015.04.13

AUR에서 nabi (https://code.google.com/p/nabi/) 설치.

yaourt -S nabi


Input Method를 nabi로 설정.

sudo nano /etc/environment

몇군데 블로그나 아치 위키에서는 .xprofile 이나 .xinitrc에 밑의 내용을 삽입해도 된다고 나오지만, 이유는 모르겠지만 안된다...

마음 편하게 /etc/environment에 삽입.

export XIM=nabi
export XIM_ARGS=
export XIM_PROGRAM="nabi"
export XMODIFIERS="@im=nabi"
export GTK_IM_MODULE=xim
export QT_IM_MODULE=xim   


한글키 한자키 설정하기.

nano ~/.xinitrc

키보드 레이아웃을 Korean으로 해도 되지만... 이상하게 이놈의 노트북이 문제인지 한글/한자키가 잘 안먹힌다...

키보드 레이아웃을 영어로 다시 바꾸고, xmodmap을 이용하기로 했다.

# Hangul and Hangul_Hanja
xmodmap -e 'remove mod1 = Alt_R'
xmodmap -e 'keycode 108 = Hangul'
xmodmap -e 'remove control = Control_R'
xmodmap -e 'keycode 105 = Hangul_Hanja'

위 내용을 추가.

참고: slim을 이용한 로그인을 하면 .xinitrc의 'exec startxfce4'을 실행시키는 현 세팅에서... 위 내용이 exec startxfce4보다 위에 추가되어야 한다!!


그다음은 gui를 이용한 nabi에서의 간단한 몇가지 세팅뿐...


'ETCs > Arch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tilda  (0) 2015.05.05
netctl, NetworkManager  (0) 2015.04.20
archey3  (0) 2015.04.19
conky, paconky  (0) 2015.04.19
Arch Way (MSI S12-A4 BlackPearl)  (0) 2015.04.13

.conkyrc

paconky.py


시나몬에서 XFCE로 갈아탔지만...

버릴 수 없었던 numix의 테마와 아이콘으로 겉모습은 별반 차이가 나지 않는다.


conky와 paconky를 설치하고..

꾸미고...

왠만한 게임보다 시간이 잘 가는듯


추가: conky의 내용이 너무 길면 짤린다.. conkyrc의 text_buffer_size를 기본 256보다 크게 조절!! 1024해놓으니 안짤리는듯...


'ETCs > Arch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tilda  (0) 2015.05.05
netctl, NetworkManager  (0) 2015.04.20
archey3  (0) 2015.04.19
nabi로 한글쓰기  (0) 2015.04.19
Arch Way (MSI S12-A4 BlackPearl)  (0) 2015.04.13

+ Recent posts